목록Algorithm (18)
Hyun Seup Jo

characters = input() num, second = 0, 0 for char in characters: tmp = (ord(char) - ord('A')) if 0

N= int(input()) cnt = 0 # 한수의 갯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 com_dif = [] # 차를 저장하기 위한 빈 리스트 if N // 100 < 1: # 한자릿 수와 두자릿 수는 항상 한수 cnt = N print("{}".format(cnt)) # 입력받은 N을 그대로 출력 else: # 100이상인 세자리 수 for number in range(100, N + 1): str_num = str(number) for j in range(len(str_num) - 1): com_dif.append(eval(str(str_num[j + 1] + "-" + str_num[j]))) # str로 변환 각 자리 숫자사이의 차를 구하여 리스트에 추가 if com_dif.count(com_dif[..

# numpy를 이용하여 작성한 CODE import numpy as np C = int(input()) percentage_list = [] for _ in range(C): tmp = np.array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 tmp2 = tmp[1:] res = tmp2[tmp2 > (sum(tmp2) / tmp[0])] # fancy index percentage = (len(res) /tmp[0]) * 100 percentage_list.append(percentage) for i in percentage_list: print("%.3f%%" %i) fancy index 기법을 이용하기 위해 numpy를 import 하였다. res = tmp2[tmp2 > (su..

N, X = map(int, input().split()) A = map(int, input().split()) for i in list(A): if i < X: print(i, end= " ") A를 그대로 출력해보면 map객체가 반환되어서 list로 변환 후 요소 읽어와서 print하는 방식으로 작성하였다.

res = [] while True: try: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res.append(A + B) except: break for element in res: print(element) EOF와 관련된 문제이다. 더 이상 A, B의 입력이 없을때 까지 입력을 받아야 하므로 try ~ except를 이용하여 error가 발생하면 while을 종료하고 sum 결과를 print한다.

H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 if M < 45: M += 15 # M = (M + 60) - 45 if H == 0: H = 23 else: H -= 1 else: M -= 45 print(H, M)

N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N): i += 1 print("*" * i)